윤석열(김건희, 측근) 관련

여전히 국민 우롱하는 김웅의 ‘발뺌’, 철저히 수사해야

道雨 2021. 11. 4. 09:38

여전히 국민 우롱하는 김웅의 ‘발뺌’, 철저히 수사해야

 

공수처가 ‘고발 사주’ 의혹의 핵심 피의자인 손준성 전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을 2일 소환조사한 데 이어, 3일 김웅 국민의힘 의원을 불러 조사했다. 의혹이 불거진 지 두달 만에야 사건의 열쇠를 쥔 인물들을 직접 조사한 것이다. 이들이 그동안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조사에 응하지 않았던 탓이 크다.

손준성 검사의 사전구속영장이 기각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이제 두 사람에 대한 조사가 이뤄진 만큼, 공수처는 사건의 진상을 밝히는 데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지난 9월2일 고발 사주 의혹이 처음 제기됐을 때부터 ‘모르쇠’로 일관해온 김웅 의원은, 이날 공수처에 출석하면서도 이미 자신의 육성 대화 녹음 등 여러 물증으로 드러난 사실관계마저 부인하거나 기억나지 않는다고 발뺌했다.

그는 고발장을 누구한테서 전달받았는지 묻는 취재진 질문에 “(고발장을) 누구에게 줬는지, 제보자가 누군지도 기억 전혀 못하고 있고, 통화 내용도 그렇게 했음에도 전혀 알지도 못하는 상황인데, 그걸 기억 못하면서 제보자를 기억하라는 건 앞뒤가 안 맞는 거 같다”고 말했다.

횡설수설로 국민을 기망하려고 한 것 같은데 가당치 않다.

 

또 제보자 조성은씨와의 대화에서 “고발장 초안을 ‘저희’가 일단 만들어서 보내드릴게요”라고 말했던 김 의원은 ‘저희’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 “‘저희’가 증거가 된다고 하면 ‘우리 원장님이 원하는 날짜가 아니다’는 말은 결정적 증거가 될 것”이라며, ‘제보 사주’ 프레임을 끌어들여 동문서답했다. 질문의 핵심을 피하는 전형적인 물타기다. 검사 출신에 국회의원인 공적 인물이 이 정도로 뻔뻔한 모습을 보이다니,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가 아닐 수 없다.

 

앞서 조사받은 손 검사는 그동안 ‘고발장 자체를 몰랐다’고 주장하다가, ‘누군가 보낸 고발장을 반송했다’는 취지로 말을 바꿨다. 하지만 고발장 전송에 사용한 텔레그램 메신저에는 반송 기능이 없다고 한다.

손 검사의 부하 검사가 고발장에 담긴 실명 판결문을 검색한 사실이 드러나는 등, 기존의 변명이 궁색해지자 또 다른 대응 논리를 만들어내는 듯하다. 수사에 임하는 태도에서 현직 검사다운 모습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처럼 핵심 당사자들의 상식 이하의 비협조와 억지 주장 속에서, 사건의 실체적 진실을 밝히는 건 오로지 공수처의 의지와 역량에 달려 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연루 의혹이 제기된 사건이라고 해서 정치적 고려를 해서도 안 된다. 국기 문란에 해당하는 중대한 범죄 의혹이기 때문이다.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수사 결과를 내놓지 못하면 공수처의 존립 이유마저 흔들린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 2021. 11. 4  한겨레 사설 ]



원문보기:
https://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1017834.html?_fr=mt0#csidx3d5f71f7545de9c862c08e017fbbcb4 

 

********************************************************************************************************************

 

손준성·김웅, 입 맞춘 듯 ‘고발장은 성명불상 제보자가…’



검찰의 고발 사주 의혹 핵심 인물인 김웅 국민의힘 의원이 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피의자로 나와 조사받았다. 검찰 출신인 김 의원은 ‘고발장 제보를 받았지만 누구인지 기억나지 않는다. 그런데 검찰은 아니다’라는 납득하기 어려운 주장을 이날도 되풀이했다.

전날 공수처에 출석한 손준성 전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현 대구고검 인권보호관) 역시 ‘제보를 받았는데 누구인지 기억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고발장 송수신 당사자로 지목된 두 사람이 서로 말이라도 맞춘 듯, 실체도 불분명한 ‘성명불상 제보자’를 들고 나온 것이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공수처 조사에 앞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난해 4월3일 고발장을 전달한 사람이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기억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제보자와 제보 경위에 대해선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 (고발장을) 누구에게 줬는지 제보자가 누구인지도 전혀 기억 안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고발장을 이 사건 제보자 조성은 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이뤄진 통화 녹취파일에 대해서도 “전혀 알지 못한다”고 했다.

 

손준성 검사도 김 의원과 비슷한 주장을 펴고 있다. 손 검사는 이 사건이 불거진 지난 9월 초부터 ‘고발장 전달 및 작성에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지난달 26일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에 이어 2일 공수처 조사에서 ‘반송’ 논리를 꺼내든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정보를 담당하는 자신에게 누군가 텔레그램 메시지로 고발장을 제보해왔고, 가치가 없다고 판단해 되돌려 보냈는데, 어떤 경로를 거쳐 김웅 의원에게 전달됐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전혀 모르는 일’에서 ‘제보 받은 고발장을 돌려 보냈을 수 있다’는 쪽으로 태도를 바꾼 것이다.

 

서울지역에 근무하는 한 부장검사는 “두 사람이 직접 통화하거나 만나진 못했겠지만, 그간 보도된 내용이나 상대방 주장을 살펴가며 말을 맞췄을 가능성이 있다. 수사 과정에서 추가 물증이 나오면 이에 맞춰 또 진술을 바꿀 수 있다”고 했다.

공수처는 디지털 포렌식을 통해 최초 고발장 전달자가 손준성 검사란 사실을 밝혀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도 지난 9월30일 고발 사주 의혹 사건을 공수처로 이첩하며, ‘손준성 보냄’으로 표시된 텔레그램 메시지가 조작되지 않았다고 결론 내렸다.

 

공수처는 김 의원과 조성은씨 통화 녹취파일을 근거로 김 의원이 언급한 “저희”가 누구인지를 규명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 의원은 지난해 4월3일 조씨와 통화하며 “고발장 초안을 저희가 만들어서 보내드릴게요” 등의 말을 했다.

공수처는 지난 9월 압수한 김 의원 스마트폰을 포렌식했지만 유의미한 자료는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김 의원은 6개월 간격으로 휴대전화를 바꾼다고 밝힌 바 있다.

 

전광준 기자 light@hani.co.kr

원문보기: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17811.html?_fr=mt0#csidx2347530fedb148b8633691afbd65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