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이 있는 글

자신의 수고 후에 얻은 소확행이 더 값지다

道雨 2024. 2. 5. 10:41

자신의 수고 후에 얻은 소확행이 더 값지다

 

 

인문 운동가의 인문 일지
 (2024년 1월 29일)

 

 

어제에 이어 행복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간다.

 

“하루를 살아도 행복하게!”

 

이 말은 100% 다 맞는 말이 아니다. 행복이란 맛있는 거 먹고, 일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는 것과 관련된 것들을 많이 생각하지만, 이와 같은 소소한 행복도 삶에서 어떤 조건이 충족되어 있을 때만 약속한 행복을 가져다 준다.

 

우리가 흔히 소확행(小確幸, 사소한 것에 확실한 행복)을 이야기 한다. 이 말은 무라카미 하루키가 한 말이다.

일상의 작은 일들이 주는 행복이 그가 누리는 행복의 전부가 아니다. 큰 행복에 빠져 있다가 작은 행복도 발견한 것이다. 그는 작은 행복을 연료로 큰 행복을 생각하는 사람이다. 소소하고 작은 행복이 그의 행복의 전부가 아니라는 말이다.

자잘한 행복이 전부인 줄 알면 하루키에게 속은 것이다. 소확행이 전부인 젊은이는 자기의 포부나 꿈이 없이, 자본주의의 부스러기나 먹으며 얻는 심리적 만족감이 행복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것이다. 최진석 교수의 글에서 읽은 거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유다이모니아(eudaimonia, 에우다이모니아)’도 행복이라 해석하기도 한다. 이 말은 자신을 존재의 수준에서 차별화 시키는 삶의 목적을 각성하고, 이 목적을 현재 자신의 삶과 일로 가져와서 실현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현재 자신의 삶에서 그 목적이 조금씩 실현되어, 자신이 성장하고 성숙해지고, 결과적으로 ‘번성’하는 체험을 의미한다.

번성과 성숙은 고사하고 우리 삶이 지속적으로 쪼그라드는데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이런 본질적인 행복과 차별되는 순간적 쾌락을 가져다 주는 소확행의 행복을 아리스토텔레스는 '헤도니아(hedonia)'라 했다.

‘헤도니아’는 쾌락이다. 응원하는 팀이 이겼을 때, 복권에 당첨되었을 때 느끼는 기쁨이고, ‘유데모니아’는 명상 같은 데서 오는 행복이다.

 

‘유데모니아'는 오랜 훈련과 연습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바르게 살 때만 가질 수 있다. 내가 생각하는 가치, 의식이 조금 더 높은 곳에서 위치하면, 그것 때문에 더 삶이 행복해지는 것이다.

그런 삶의 목적을 각성하지 못한 사람이 행복을 느끼는 것은, 낙타가 바늘 구멍에 들어가기보다 어렵다.

 

우리가 행복의 원천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소확행은, 위에서 말한  유데모니아가 전제되어야 행복을 가져다 준다.

예를 들어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에서, 여행을 즐기는 삶은 소확행이고, 열심히 일한 당신과 관련된 부분은 여행을 더욱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유데모니아이다. 열심히 일함을 통해 스스로 성장체험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매일 여행만 다닌다는 것은 지루한 고역이 될 수 있다.

소위 ‘불금’이 기다려지고 즐거운 이유는 주중에 유데모니아의 삶을 살았기 때문이다. 내가 바나나를 싫어하는 이유는, 과일 껍질을 벗기는 수고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과 같다.

자신의 수고 후에 얻은 소확행이 더 값지다. 마치 주요리를 먹지 않고, 디저트만 넘게 되는 상황과 마찬가지이다.

 

자신이 재력과 체력 그리고 시간의 여유가 있어서 유데모니아 없는 소확행을 지속적으로 즐길 수 있더라도, 그 소확행은 결국 햇빛과 같을 뿐이다. 햇빛이 쨍쨍한 날을 갈망해도 매일매일 해가 쨍쨍 뜨는 삶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삶은 사막화되어 금방 황폐화된다. 그러니 삶의 목적을 자기 일과 삶을 통해서 실현시키는 성장체험인 유데모니아가 행복의 본질이다.

 

결혼의 경우도 두 부부가 결혼생활을 통해 서로 성숙시키는 유데모니아가 끊어지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서로에 대한 유데모니아 체험을 할 수 없다면 결혼생활은 그냥 지루한 일상에 불과할 수 있다.

 

돈, 명예, 권력 등을 획득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돈, 명예, 권력을 획득하면, 획득한 상태를 당연한 상태로 받아들이는 데 걸리는 몇 주 정도만 행복하다. 하지만 새로운 상태에 적응된 후에는, 더 나은 사람과의 비교를 통해서 기대치를 높이는 톱니바퀴적 성향 때문에 점점 더 큰 것을 얻어야 행복해진다.

얻은 대가로 짧게 행복한 기간을 지내다, 더 긴 기간 동안 불행한 삶을 사는 것이다. 이를 우리는 ‘톱니바퀴 효과’라 한다.

사막 효과란 말도 있다. 예를 들어 결혼 생활의 경우와 같다. 돈, 명예, 권력을 포기하지 못하면, 이것들도 매일 내리쬐는 햇볕이 되어 삶을 지속적으로 사막화 시킨다.

 

행복은 자신의 성장 체험과 직접 관련을 맺지만, 자신으로 인해 다른 사람이 성장체험을 한 경우에도 이어진다. 자신 때문에 세상이 더 행복해지고, 더 건강해지고, 더 아름다워지는 상태를 구현한 것이다.

결국 자신이 성장한 결과로 이런 상태가 만들어지고, 소중한 사람들과 소통이 더 활발해진다면, 최고의 행복한 상태를 체험하는 것이다.

 

행복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규정했듯이, 성장 체험을 통해 더 성숙해짐에 대한 되어감을 통해서 증진된다. 목표 자체의 달성보다, 달성하는 과정이 우리들에게 더 행복을 가져다 준다.

 

그리고 성장 체험의 본질은, 지속적 학습을 통한 성장과 성숙이지, 실수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행복한 사람은 항상 자신만의 일인칭 프로젝트에 빠져 있는 사람들이다. 이런 프로젝트가 중요한 이유는, 남들과 비교할 필요가 없이 자신의 목적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자신을 존재의 수준에서 차별화 시킬 수 있는 목적을 각성했고, 이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자신만의 일인칭 프로제트가 있다는 유데모이나의 조건에서 우리는 행복해 질 수 있다.

 

내 삶이 내재적 기준에 의해서도 지속적으로 쪼그라들고 있는데 행복을 느낀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사람들이 유데모니아가 없는 소확행에 빠져 살다가, 결국 삶이 사막화되면 무언가 더 심각한 것에 자신을 중독 시킨다. 소확행으로 행복을 쫒는 것은 영원히 잡을 수 없는 파랑새를 쫒는 것과 같다.

 

그리고 행복 하려면 먼저 자유로워져야 한다. 에덴동산에서 인간은 행복했지만, 어리석게도 자유를 요구했다가 광야로 쫓겨났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를 보면, 행복한 호모 사피엔스는 존재하지만, 자유로운 나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 사회는 동일한 것을 생각하고 동일한 것을 욕망하게 만드는 사고의 동일화본능의 획일화가 무섭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다수가 추구하는 욕망의 충족이라는 행복은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어줄 수 없는 신기루에 불과하다. 진정한 행복은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나를 찾아가는 자유의 발견에 있다.

 

다수의 생각이 아니라 나의 생각을, 물리적 욕망이 아닌 정신적 욕망을 꿈꿔야 한다. 그것이 자유이고 행복한 인간이 되는 길이다. 그 길이 쉽지는 않다. 사람들은 안전하고 편안한 삶을 갈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행복 하려면 독립적이고 창의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 그 길은 용기를 내어 자신을 행해 쉼 없이 걷는 일이다.

그러면서 이런 질문들을 하는 것이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원하는가?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나는 어떻게 살다 가고 싶은가?

이런 질문이 없으면 더 이상의 삶은 없다. 묻는 행위를 하지 않는 인간은 쪼그라든다.

 

그리고 늘 변하는 세상에서는 신이 주신 절제를 발휘할 때 그 인간은 행복하다고 할 수 있다. 어느 누구와 비교하고 경쟁을 하는 상황은, 승리자와 패배자가 정해지기 때문에 어떤 것이 옳고 행복하다고 따지기 어렵다. 그러니 작은 것에 만족하며 절제하며 사는 삶이 행복한 삶이라 할 수 있다.

 

더 큰 것을 가지려고, 더 화려한 것을 차지하려고 애쓰는 것은, 누군가가 가진 것과의 비교가 수반되는 것이기에 만족한 결과를 얻기가 어렵다. 그 비교의 끝은 없다.

그러므로 절제하고 내려놓고, 작은 것에 충족하는 사람과 그 태도가 행복의 중요한 조건이 될 것이다.

많은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그것들을 지키기 위해 또는 그보다 더 많이 가지려고 밤잠을 설치고 늘 바쁘게 지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때로는 가까운 사람들과  다투고 어느 누군가를 슬프게 만들기도 하기 때문이다.

 

독일 작가 하인리히 뵐의 <<노동윤리의 몰락에 대한 일화>>를 소개한다.

일찌감치 고기잡이를 다녀온 뒤 선창가에서 졸고 있는 노인 어부에게 도시에서 온 관광객이 이렇게 묻는다.

“왜 고기를 더 잡지 않느냐? 더 많이 잡으면 어선도 늘리고, 냉동 창고, 훈제공장을 마련해 큰돈을 벌 텐데요.”

그 질문에 어부는 이렇게 답했다.

“그러고 나면 어떻게 되오?”

관광객은 “이 항구에 편히 앉아 햇빛을 즐기고 바다를 보며 꾸벅꾸벅 졸수도 있다.”고 답하자, 어부는 “나는 벌써 그렇게 하고 있어요. 당신이나 카메라 셔터 누르는 소리로 나를 방해하지 말아 주세요.”고 대답했다고 한다.

그러자 관광객은 가난한 어부에게서 부러움 느끼며 그 자리를 떠나갔다.

지금 주어진 것에 만족하며, 그것들을 최대한 즐기는 자세가 중요한 것이다.

 

루이스 캐럴의 소설 <거울나라의 엘리스>에는 붉은 여왕이 나온다. 그 여왕은 항상 달려야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멈추면 처지고, 앞서려면 남보다 두세 배 더 빨리 달려야 했다. 오늘 날의 우리들 모습이었다. 경쟁의 논리이다.

누군가 말했다. “경쟁은 잠을 자지 않는 법이”라고.

그렇다고 언제까지 붉은 여왕과 함께 달리자니 딱할 뿐이다.

주변 경치도 음미하면서,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찾아야 한다.

 

 

 

행복

                    / 허영자

 

눈이랑 손이랑
깨끗이 씻고
자알 찾아보면 있을 거야.

깜짝 놀랄 만큼
신바람 나는 일이
어딘가 어딘 가에 꼭 있을 거야

아이들이
보물찾기 놀일 할 때
보물을 감춰두는

바위 틈새 같은 데에
나뭇 구멍 같은 데에
행복은 아기자기
숨겨져 있을 거야.

 

 

 

 

박한표

프랑스 파리 10대학에서 박사를 받고 국내에 들어와 대전 알리앙스 프랑세즈, 프랑스문화원장을 하다가 와인을 공부하였습니다. 경희대 관광대학원에서 강의를 하며, 또한 와인 및 글로벌 매너에 관심을 갖고 전국 여러 기관에서 특강을 하고 있습니다, 인문운동가를 꿈꿉니다. 그리고 NGO단체 대전문화연대 공동대표로 활동하다 그만두고, 지금은 인문운동에 매진한다. 그러다가 최근에는 마을 활동가로 변신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