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상식

방송, 공영성 수준 낮다 (언론학자 설문조사)

道雨 2011. 8. 5. 11:09

 

 

 

  언론학자 64% "지상파 공영성 수준 낮다"

 

한국일보 '방송 공영성' 42명 설문조사
"KBS, 민주당 도청의혹 대처 부적절" 83%
"MBC 소셜테이너 출연금지 부적절" 69%


 

 

국내 언론학자 열 명 중 여섯 명은 국내 주요 지상파 방송의 공영성 수준이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언론학자 열 명 중 일곱 명은 MBC의 공영성 수준에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한국일보가 한국언론학회 소속 언론학자 42명을 대상으로 국내 방송 공영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16.7%가 주요 지상파 방송에 대해 "공영성 수준이 매우 낮다"고, 47.6%는 "낮다"고 평가했다. "높다"는 의견은 11.9%, "보통이다"는 응답은 23.8%였다. "공영성 수준이 매우 높다"는 응답은 전무했다.

KBS의 공영성 수준에 대해선 "매우 낮다"(23.8%) "낮다"(35.7%)는 의견이 많았다. MBC의 공영성 수준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매우 낮다" 26.2%, "낮다" 50%)이 KBS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KBS기자의 민주당 도청 의혹 사건에 대한 KBS의 대처에 대해선 83.3%가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KBS는 "경찰 조사를 지켜보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KBS가 진상위원회를 구성해 적극적으로 조사해야 한다는 의견도 76.2%에 달했다. "경찰 조사에 맡겨야 한다"는 의견은 16.7%였다.

조사에 응한 김균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공영방송의 신뢰성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이므로 적극적이고 명확한 사실 관계 확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회적 정치적 발언과 행동을 하는 방송인의 고정 출연을 금지시킨 MBC의 이른바 '소셜테이너 출연 금지 규정'에 대해선 "매우 부적절하다" 47.6%, "부적절하다" 21.4%로 언론학자 69%가 반대 의견을 나타냈다. "적절하다"는 대답은 11.9%에 그쳤다.

김창남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사회적 표현과 정치적 참여는 헌법에 보장된 기본권이며 민주주의 사회의 당연한 권리다. 이를 이유로 방송 출연을 금지하는 건 무뇌방송을 만들겠다는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  라제기기자 wenders@hk.co.kr >

 

 

 

    종편, "방송 공영성에 부정적" 83.3%

 

종편에 대한 생각은 ?

국내 언론학자들은 연말 방송 예정인 종합편성채널이 방송 전체 공영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했다.

26.2%가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 57.1%가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했다. 언론학자 열 명 중 여덟 명이 종편 등장에 따른 공영성 침해를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답한 학자는 11.9%였다.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 답한 학자는 1명이었고, "매우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은 하나도 없었다.

학자들은 시청률 경쟁에 따른 상업성 강화가 공영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봤다. "경쟁 강화로 오락 프로그램 편중을 불러 올 것", "종편의 이윤과 권력 지향성이 뉴스나 프로그램에 반영되고 다른 방송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이다.

"정치권력인 조중동이 방송과 광고를 장악하면 공영방송 특히 공적인 프로그램은 어떻게 먹고 사나"라고 반문한 학자도 있었다.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 답한 한 학자는 "종편이 시장의 호응을 얻기 위해 방송사로서 균형감과 공공성을 견지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종편 등장이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응답한 학자는 "시청자의 선택권이 많아지면 일부 편향적인 방송을 회피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 라제기기자 wenders@hk.co.kr >

 

 


 

    "정치적 편향성, KBS·MBC가 민방 SBS보다 심하다"

 

 

[위기의 공영방송] < 상 > 언론학자 설문조사
공영방송 역할 못하는 까닭 "경영진 탓"
TV수신료 즉각 인상에 26.2%만 찬성

 

 

국내 언론학자들이 국내 지상파 방송 전반을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사실이 이번 한국일보 여론조사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특히 KBS와 MBC의 공영성(공공의 이익 도모) 수준을 낮게 평가했다. KBS, MBC가 공영방송을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민영방송 SBS와 공영성 수준에서 차이가 없다는 의견도 많았다. 방송의 정치적 편향성이 높다는 응답 비율도 높았다. 국내 방송의 공영성이 심각한 위기 상황에 있다는 방증들이다.

26.2%만 "TV수신료 즉각 인상"

언론학자들은 방송의 정치적 편향에 대해 특히 비판적인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의 무려 81%가 KBS의 정치적 편향성 정도가 높다("높다" 52.4%, "매우 높다" 28.6%)고 평가했다. MBC도 거의 비슷한 정도(80.9%)로 편향성 정도가 높다("높다" 57.1%, "매우 높다" 23.8%)는 의견이었다.

언론학자들은 KBS의 정치적 편향성이 높은 데 대해 "친정부 인사들이 조직을 장악했기 때문" "KBS의 (전통적인)정부 편향성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MBC는 "무늬만 공영방송인 체제 자체가 정치적 편향성을 지닌다"는 평가도 있었다.

SBS의 정치적 편향성 정도에 대해선 57.1%가 높다("높다" 50%, "매우 높다" 7.1%)고 답해 KBS, MBC와 대조적이었다. 김찬석 청주대 광고홍보학과 교수는 "SBS가 상대적으로 경제ㆍ사회적 가치를 중요시하다 보니 KBS나 MBC에 비해 정치적 편향성은 거의 없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KBS에 대한 언론학자들의 비판적인 인식은 TV수신료 1,000원 인상에 대한 의견에서도 잘 드러난다. "수신료의 즉각 인상"에 긍정적으로 답한 사람은 응답자의 26.2%에 불과했다. 이보다는 "공영성 강화 조치 이후 인상해야 한다"(57.1%)가 훨씬 높았고 "인상하지 않아야 한다"는 대답도 11.9%가 있었다. 최윤식 광주대 언론광고학부 교수는 "물가 등 여러 면을 고려했을 때 1,000원 인상은 별 문제가 아니지만 심리적인 저항이 존재한다"며 "KBS가 광고를 적극 줄이기는커녕 중간광고까지 도입하려는 모습을 보면 공영성 의지가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공영ㆍ민방 공영성 차이 없다"

KBS와 MBC에 대한 불신은 공영성에서 두 방송사가 SBS와 차이가 없다는 의견으로 이어지고 있다. "KBS와 MBC가 SBS와의 공영성 수준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는 학자들이 57.1%("없다" 45.2%, "전혀 없다" 11.9%)나 됐고 일부 학자는 "공영성은 오히려 민영방송이 나을 때가 많다"는 의견까지 내놓았다.

KBS와 MBC가 공영방송을 표방하면서도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선 "사장 등 경영진의 정치적 중립성 문제"(복수응답 85.7%)를 꼽는 학자들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정치권의 개입"(33.3%) "채널 증가에 따른 시청률 경쟁 심화"(16.7%)가 지적됐다.

정치적 중립성을 잃은 사장 임명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았다. 현 제도를 "당장 바꿔야 한다"(40.5%) "점진적으로 개선해야 한다"(45.2%)가 언론학자들의 거의 공통된 시각이었다. 개선 방향으로는 "정치권 입김 배제"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또 "시민단체 기구가 참여하는 '방송의회' 제도 도입 필요" "정당 관여 없는 이사회 추천과 국회 인준을 거친 대통령 임명" "국민을 대표하는 선정위원회의 별도 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라제기기자 wenders@hk.co.kr
채지은기자 cje@hk.co.kr

 

 

 

 

 

 

    '소셜테이너 금지'가 상관관계 최고… 진보적 학자일수록 비판적 입장

 

 

이념성향에 따라 응답 엇갈려

한국일보가 통계기법인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알아 본 결과 언론학자들은 자신들의 이념성향에 따라 각 질문 항목마다 엇갈린 응답을 내놓은 것으로 조사됐다. 상관관계 분석은 특정한 두 항목끼리의 밀접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는 통계기법이다.

이념적 성향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항목은 MBC의 '소셜테이너 출연 금지 규정'에 대한 의견(상관관계 지수 40%ㆍ지수가 높을수록 연관성이 있다)이었다. 자신을 진보적이라고 생각하는 학자일수록 '소셜테이너 출연 금지 규정'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KBS의 정치적 편향성에 대한 평가도 이념적 성향과 꽤 밀접한 관계(3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적인 언론학자일수록 KBS의 정치적 편향성이 높다고 답했다. 진보적인 학자들은 SBS의 정치적 편향성에 대해서 비판적(21%)이고, TV 수신료 인상에 부정적(28%)이며, KBS의 재난방송에 대해 불만족스럽다(29%)고 답했다.

MBC의 공영성 수준 평가에는 이념적 성향이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4%). 진보적 학자와 보수적 학자 모두 MBC의 공영성 수준이 "낮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나 그 이유에 대해서는 서로 의견이 달랐다.

한 진보적 학자는 "정치세력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해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한 보수적 학자는 "노조의 입김 등에 의해 이념성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민주당 도청 의혹 사건에 대한 KBS의 입장에 대한 평가에서도 이념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조사에 응한 학자 42명 중 25명이 "중도"라고 스스로를 규정했다. "매우 보수적이다" "보수적이다"고 응답한 학자와, "매우 진보적이다' "진보적이다"고 답한 학자는 각각 8명이었다. 1명은 이념적 성향을 밝히지 않았다.

리서치전문회사 시노베이트 코리아의 박성민 부장은 "진리를 추구하는 교수들의 특성상 실제 이념 성향과 달리 중도라는 입장 표명이 많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언론학회 회원 무작위 추출… 설문, 학자 2명 감수 거쳐

 

어떻게 조사했나

한국일보의 이번 주요 지상파 방송 공영성 인식 조사는 한국언론학회 회원 언론학자 42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념적 편향을 막기 위해 언론학회 회원 중 100명을 무작위로 추출한 뒤 전화 연결이 된 60명에게 설문 응답을 요청했고 이 중 42명이 응했다.

설문 내용은 언론학자 2명의 자문과 감수를 거쳐 항목과 질의, 측정 척도 등의 공정성과 적합성을 검증 받았다. 조사 기간은 7월27~29일이며 조사 결과 통계 분석은 리서치 전문가가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