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관련

정부기관도 “낙동강에 ‘간암유발 물질’ 대량발생 가능성”

道雨 2011. 9. 27. 13:40

 

 

 

정부기관도 “낙동강에 ‘간암유발 물질’ 대량발생 가능성”
 

 

낙동강유역환경청 ‘남조류’ 발생 크게 우려
“4대강 공사 함안보 부근”…취수장 밀집지역
김진애 민주당 의원 “식수재앙 점차 현실화”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지난 7월 환경부와 국토해양부, 한국수자원공사 등에 보낸 ‘낙동강 함안보 수역 조류발생 대응방안’이라는 문건에서, “기존 하천이 낙동강하구둑, 함안보, 합천보 사이의 3개 호소형 하천으로 변경되었다”며, “일부 수역에서 정체될 경우, 국지적으로 조류가 과다증식할 수 있다”고 보고한 것으로 26일 밝혀졌다.

 

낙동강환경청은 이 문건에서 “함안보 부근은 (4대강 사업으로) 하천 형상의 큰 변화를 겪고 칠서취수장과 남강, 황강유역의 주 오염원이 위치해 있다”며, “낙동강 하류는 호소보다 영양염류의 농도가 3배 이상 높은 실정이며, 고수온기에 일부 구간에서 정체수역이 생길 경우 남조류 대발생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위험성을 경고했다.

함안보 부근은 부산·경남지역 주민들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취수장이 밀집해 있는 곳이다.

 

남조류는 독소를 생성하고, 사람과 가축에 간암을 유발하고 신경계통에 손상을 입힌다. 또 냄새 등으로 수돗물을 마실 때 불쾌감을 불러일으키며, 정수장의 여과기능을 훼손해 정수처리를 저해하는가 하면, 용존산소 부족으로 물고기 폐사 등을 초래한다.

 

우리나라에서는 98년부터 주요 하천과 호소를 대상으로 조류예보제를 실시 중인데, 조류예보 발령기준에 따르면 ‘조류 대발생’은 클로로필 에이(chl-a) 농도가 100㎎/㎥ 이상일 때 남조류 세포수가 100만/㎖ 이상을 넘으면 발령된다.

우리나라에서 조류예보제가 시행된 이후 ‘조류 대발생’ 예보는 2001년 대청호에서 발령된 사례가 유일하다.

김진애 민주당 의원은 “4대강 사업으로 인한 식수재앙 가능성이 점차 현실화하고 있음이 드러난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대구에서 열린 낙동강유역·대구지방환경청에 대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도 4대강 사업으로 인한 조류발생 문제가 쟁점이 됐다.

‘포스트 4대강 자문협력단’ 회의에서 지난 7월28일과 8월23일 함안보 수역 조류발생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으며, 일부 수역에서 물이 정체될 경우 국지적으로 조류가 증식할 것으로 예상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이날 국감에서 홍희덕 민주노동당 의원은 포스트 4대강 자문협력단 회의와 국무총리실 산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보고서를 들어, “과거 하구언 일대에서만 우려되던 조류 피해가 4대강 사업 후에는 낙동강 8개보 수역 전역으로 확산될 전망”이라며, “4대강 보의 수질개선 논리 중 하나인 ‘플러싱’(희석방류)도 적조 발생 잠재력을 키우는 것으로 한계가 있으며, 기술적으로 막을 방법이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상팔 낙동강유역환경청장은 “(조류 발생 보고와 대책 문건에 대해) 지금 그 문건은 4대강 사업이 완료됐을 때 최악의 조건에 대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영률, 대구/박주희 기자 ylpa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