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우리 동네 야생화, 오늘(2017. 5. 26)의 꽃 : 메꽃, 개모밀덩굴, 우엉, 질경이, 개망초

道雨 2017. 5. 31. 16:04




우리 동네 야생화, 오늘(2017. 5. 26)의 꽃

: 메꽃, 애기똥풀, 개모밀덩굴, 우엉, 질경이, 개망초



* 메꽃(선화:旋花, 천검초:天劍草, 구구앙:狗狗秧)





 

메꽃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덩굴풀로, 개화시기는 6~8월이고, 나팔꽃 모양의 연분홍색(또는 흰색) 꽃이며, 길가나 풀밭에 덩굴형으로 자란다. 잎은 길쭉한 단검 모양을 하며, 양쪽 밑에 귀같은 돌기가 있다.

 

가늘고 긴 덩굴성 줄기가 왼돌기(시계반대방향)로 올라가는 모습에서 ‘선회하는 풀꽃(선화 旋花)’이라 하였으며, 잎이 단검의 칼날처럼 뾰족하다고 하여, 천검초(天劍草)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감는 풀(bindweed)’이다.

메꽃의 '메'는 흰색의 뿌리줄기를 말한다.

'메'는 산을 지칭하는 옛말인데, 산비탈에서 흔히 보이므로, 산의 꽃이라는 뜻으로 '메꽃'이라 하였다는 설도 있다.

 

나팔꽃은 열매가 달려서 씨로 번식하지만, 메꽃은 열매를 맺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지하경(땅속덩이줄기)으로 번식하는데, 씨가 없다고 고자화(鼓子花)라고 불리기도 한다.

 

꽃모양이 나팔꽃을 닮아 혼동하기 쉬우나, 나팔꽃(모닝글로리)은 이른 아침에 피고, 메꽃은 한낮에 피는 것이 다르다. 저녁에는 둘 다 꽃이 져버린다.


나팔꽃은 유럽(희말라야가 원산지)에서 들어온  귀화식물이고, 메꽃은 순수한 우리나라 토종 야생화이다.

 


땅속(뿌리)덩이줄기와 지상부를 한약재로 쓰며, 청열, 자음, 강압의 효능이 있어, 소변불리, 고혈압, 소화불량에 쓰인다.

근골격계 질환이나 쇠붙이에 상한 경우에도 쓴다.

 

메꽃의 땅속 덩이줄기('메', 또는 '멧뿌리'라고도 한다)는 밥에 얹어 쪄 먹기도 한다.

에는 전분이 풍부해, 기근이 들었을 때 구황식품으로 이용했다.

메뿌리를 생으로 먹으면 단맛이 돌고, 쪄서 먹으면 군밤 비슷한 맛이 난다고 한다.


해운정사 앞 풀밭, 우동 벽화마을 골목길 빈터 풀밭에서  관찰됨.

 

 

# 메꽃(백과사전 내용)

 

들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로서, 백색 지하경이 사방으로 길게 뻗으며, 군데군데에서 순이 나와 엉킨다.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긴 타원형이고 잎의 아랫부분이 귓불모양으로 되어 있다.

 

꽃은 6∼8월에 연분홍색으로 핀다. 꽃모양이 나팔꽃을 닮아 혼동하기 쉬우나, 나팔꽃이 아침에 피는 데 반하여, 메꽃은 한낮에 피는 것이 다르다. 저녁에는 둘 다 꽃이 시든다.

또, 나팔꽃은 일년생인 데 비하여, 메꽃은 다년생이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땅속줄기는 삶아서 식용하는데, 땅속줄기에는 녹말이 많이 들어 있어서, 춘궁기 때는 식량의 구실을 해주었다.

 

한방에서는 전초(全草)를 말린 것을 선화(旋花)라 하여 약재로 사용한다. 약성은 온(溫)하고 감(甘)하며, 익기(益氣)·이수(利水)·항당뇨(抗糖尿)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신체허손(身體虛損)·소변불리(小便不利)·고혈압·당뇨병 등에 탕 또는 즙을 내어 복용한다. 또, 피로회복제로도 이용된다.




 

 

 

*** 참고 및 비교 : 나팔꽃

 

나팔꽃(Morning Glory)

 

나팔꽃나팔꽃1[나팔꽃]꽃말/전설

 

나팔 모양으로 생겨 나팔꽃이다.

나팔꽃(백축, 흑축)은 메꽃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서, 잎은 어긋나며, 심장모양으로 3개로 갈라진다. 또한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다.

 

여름(개화시기는 7~8월)에 남색, 자주색, 백색, 홍색 등의 나팔 모양의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아침 일찍이 피었다가, 낮에는 오므라들어 시든다.


씨는 흑축(黑丑) 또는 견우자(牽牛子 : 칠월칠석 무렵 꽃이 핀다고 하여 붙은 이름)라 하며, 利尿, 瀉下, 驅蟲의 효능이 있어, 한약재로 쓰인다.

 

 

# 메꽃과 나팔꽃의 공통점

 

    1. 둘 다 덩굴식물이다.

    2. 둘 다 꽃이 나팔 또는 깔대기처럼 생겼으며, 조상이 같다(메꽃과에 속함).

    3. 꽃이 피는 시기가 둘 다 여름철(5월에서 8월)로  비슷하다.

    4. 둘 다 약용(한약재)으로 쓰이며, 약효도 비슷하다(약으로 쓰이는 부위는 다르다).

   

 

# 메꽃과 나팔꽃의 다른 점

 

    1. 메꽃은 여러해살이풀(다년생)인데 비해, 나팔꽃은 한해살이풀(일년초)이다.

    2. 메꽃은 주로 엷은 분홍색(또는 흰색)인데, 나팔꽃은 자주색, 남색, 흰색, 붉은 색 등 여러 가지가 있다.

    3. 메꽃은 순수한 우리나라 토종 야생화, 나팔꽃은 희말라야(인도, 네팔 등)가 원산지인 귀화식물이다.

    4. 메꽃은 땅속 뿌리줄기로 번식하고, 나팔꽃은 씨앗(종자)으로 번식한다.

    5. 메꽃의 잎은 단검처럼 길고, 나팔꽃은 심장모양의 잎을 가졌다. 

    6. 나팔꽃은 이른 아침에 꽃이 피고(모닝글로리), 메꽃은 한낮에 핀다.

   

   

 

  # 메꽃 나오는 동요

 

 

햇볕은 쨍쨍

  

                                                                - 최옥란 작사, 홍난파  작곡

 

햇볕은 쨍쨍
모래알은 반짝
모래알로 떡해 놓고
조약돌로 소반 지어
언니 누나 모셔다가
맛있게도 냠냠

햇볕은 쨍쨍
모래알은 반짝
호미들고 괭이 메고
뻗어가는 메를 캐어
엄마 아빠 모셔다가
맛있게도 냠냠

 

 

 


# 덩굴식물은 식물종마다 감아올리는 방향이 일정한데, 박주가리, 인동, 등나무 등은 시계방향이고, 메꽃, 칡, 나팔꽃 등은 시계반대방향으로 감아올린다.

 




* 애기똥풀(백굴채 : 白屈菜) : 까치다리 



                                     * 애기똥풀의 꽃과 함께 열매가 달려 있다.


 

양귀비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며, 잎이나 줄기를 자르면, 갓난아기의 무른 똥처럼 노란 액이 나온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잎이 무 잎과 비슷하고, 아랫면은 분처럼 희기 때문에 '백굴채'라고 불리기도 한다.

'까치다리'라는 이름은, 이 풀의 줄기가 자라면서 무척 억세지기 때문에, '가늘면서 억세다'는 뜻에서 붙여진 것이다.

 

마을 근처길가나 풀밭에 서식하며, 괭이밥과 유사한 크기의 노랑꽃(개화시기는 6~8월)인데, 키가 더 크고 꽃잎이 4장인 것이 다르다. 잎은 쑥과 비슷하고, 어긋나고 깊이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기나 잎을 꺾으면 노란색의 유액이 나온다.

실제로 작은 줄기를 잘라보니, 꽃 색깔처럼 노란 유액이 나온다.

 

消食解毒, 消腫鎭痛, 止咳의 효능이 있어, 전초(全草)를 한약재로 쓰는데(백굴채), 위궤양이나 위암에 특효가 있다. 피부질환에도 쓴다. 양귀비에 비해 절반 정도의 진통효과가 있다고 한다.

독성이 있어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有毒).

 

우동 벽화마을 골목길, 길가 빈터 풀밭에서 관찰됨.


 

 

# 참고사항 : 식물의 유액

 

식물의 세포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액의 색깔에는, 일반적으로 흰색, 황색,분홍색의 3종류가 있다.

이와 같은 유액들은 모두 약리작용을 나타내므로 약물로서 이용되고 있다.
흰색의 유액을 갖는 것은 유액분비의 촉진제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민들레, 위궤양의 치료제로 민간에서 많이 이용하는 왕고들빼기가 있으며, 분홍색의 유액은 지구상에 현존하는 진통제 중에서 최고의 효능을 가진 양귀비가 있다. 그리고 황색의 유액을 가지는 것은 애기똥풀이 있다.

 



개모밀덩굴 : 갯모밀, 개모밀, 적지리(赤地利)




                                  * 보통 8~10월에 꽃이 피는데, 이르게 피었다.


  

마디풀과에 속한 덩굴형 한해살이풀로서, 높이 10~15cm 정도로 자라는 숙근성의 풀이며, 줄기가 기는 습성이 있고, 땅에 닿아 뻗기 시작하면 한없이 뻗기도 한다.

 

붉그스레한 줄기는 땅위를 기어 다니며, 마디마다 뿌리를 내리고, 또한 가지를 잘 친다.

 

잎은 아름다운 심장꼴로서, 중앙부에 화살표(V자 모양)와 같은 생김새의 어두운 녹색(또는 짙은 갈색, 자주색) 무늬가 있다.  

잎은 서로 어긋나며, 꽃 필 무렵에 늙은 잎의 일부는 진홍빛으로 물들기도 한다.

 

꽃은 8~10월에 분홍색(또는 흰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 형성되는 짤막한 꽃대 위에 꽃 이삭을 달며 풍성하게 핀다.

 

우리나라의 남부지방과 제주도의 바닷가 근처에서 자라기 때문에 붙여진 '갯모밀' 또는 '개모밀'이라 하였다가, '개모밀덩굴'로 등록되었다고 한다.

 

동네 골목길 민가의 집 앞에 화분에다 재배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 우엉(우방자:牛蒡子, 우방근:牛蒡根) : 우벙






국화과에 속한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유럽이 원산지인 재배식물이며 전국적으로 심고, 야생으로도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70~200cm 정도이다.

곧추 들어가는 뿌리는 원주형으로 길이 30~60cm 정도이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은 심장형으로 표면이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백색 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잎몸이 작으며 긴 타원형이다.


산방상으로 달리는 두상화는 검은 자주색이고 관모는 갈색이다.


재배식물로 뿌리를 식용한다.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가을에 뿌리를 캐어 가늘게 쪼개 삶아 나물로 먹거나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열매(우방자)와 뿌리(우방근)를 한약재로 쓰는데, 성미는 辛苦, 寒하며, 소풍청열, 해독투진, 산종의 효능이 있어, 외감성으로 인한 해수, 가래, 인후염, 폐열로인한 기침, 가래, 홍역 초기와  피부 가려움증, 인후염, 편도선염, 볼거리염, 피부발진 등에 쓴다.

우방근은 약성이 苦寒하여 얼굴이 붓고 아픈 것을 가라앉히고, 인후염, 종기, 옴, 버짐에 활용된다.


우엉이라는 이름은 한자 이름인 우방(牛蒡)에서  비롯된 것으로,'우웡'에서 우엉으로 변한 것이다. 

우방(牛蒡)은 소가 잘 먹는다고 하여 붙여진 것이다.


동네 민가의 화단에서 재배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 질경이(차전초:車前草, 차전자:車前子)






 

길가나 빈터에서 흔히 자라는 질경이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줄기는 없고, 뿌리에서 모여 나는 잎은 잎자루가 길고 땅 위에 넓적하게 벌어져 있다.

꽃줄기는 높이 30cm쯤 자라며, 6~8월에 줄기 위쪽에 흰 꽃이 이삭 모양으로 모여 핀다.

 

질경이라는 이름은 잎이 잘 끊어지지 않고 질기다는 것에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끈질긴 생명력(마차 바퀴가 지나간 자리에서도 살아있을 정도로 질기다)과 관련된다고 하겠다.

 

차전초(車前草)라고도 하는데, 이는 가뭄에 시달린 병사와 말이 요독증(尿毒症)으로 죽게 되었을 때, '마차 앞의 풀'을 먹고 원기를 회복했다는 데서 붙여졌다.

 

질경이의 종자(씨)차전자라고 하며, 한약재로 사용된다. 한의원 등에서 비교적 자주 쓰이는 약재에 속한다.

차전자는 利水通淋, 止瀉, 明目, 祛痰止咳의 효능이 있어, 습열로 인한 소변불리, 小便淋澁, 泄瀉, 目赤腫痛, 咳嗽에 쓰이고, 혈압강하의 작용이 있다.

차전초는 질경이의 全草로서, 차전자보다 청열해독작용이 양호하여, 熱證의 출혈, 皮膚瘡毒의 證에 효과가 우수하다.

 

해운정사 뒤 빈터 풀밭과 동네 곳곳에서 야생으로 자생하는 것이 관찰됨.





* 개망초(일년봉:一年蓬)





 

국화과의 두해살이풀이며, 개화시기는 7~9월이고, 국화를 닮은 하얀 꽃이 무리를 지어 핀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인데, 번식력이 워낙 좋아 한번 밭에 퍼지면 농사를 망친다 하여 개망초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지상부를 한약재로 쓰는데, 청열해독, 助消化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장염복통, 전염성간염, 림프절염 등에 쓴다.

 

해운정사 앞 축대에서 야생으로 자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