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단층이 지나가는 불국사 일대는 우리나라에서 지반이 가장 불안정한 곳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역사문헌에는 통일신라시대인 779년에 ‘땅이 흔들리고 민가가 무너져 죽은 자가 100여명이나 됐다’는 문헌상 최대의 지진 피해도 기록됐다.
그런데도 불국사가 1200여년 동안 지진을 견디며 거의 본래 모습을 지켜온 비결은 뭘까?
불국사의 내진구조를 조사해온 황상일 경북대 교수(지리학)는 11일 “비탈진 곳에 돌을 쌓아 건물 터로 만든 불국사 남쪽과 서쪽 기단부 석축(축대)에 여러 내진공법이 적용됐음을 확인했다”며 “8세기 신라인은 돌을 활용한 세계 수준의 내진 기술을 갖추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석축이 땅과 건물 사이에서 지진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 구실을 했다는 것이다.
|
||||||
황 교수는 이번 조사에서 불국사 600m 반경 안에 기존에 알려진 3개의 활성단층 외에 경내 밑을 지날 가능성이 큰 활성단층 하나가 더 있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냈다.
그러나 대웅전 남회랑 석축과 석가탑 하부구조 등에 쓰인 ‘그렝이’ 기법(울퉁불퉁한 자연석 위에다 맞닿는 면을 맞춰 다듬은 석재를 얹는 것) 등 내진설계가 불국사를 지켜왔다는 것이다.
황 교수는 “목조 양식을 석재에 응용한 이런 구조는 지진 때 좌우 흔들림을 잘 견디고 석재들 사이에 틈을 두어 석재들의 미세한 운동과 열, 소리에너지로 지진에너지를 상당량 소모시킨다”고 말했다.
또 청운교·백운교의 ‘결구(짜맞춤)’나 석축에 박힌 ‘동틀돌’ 등에도 목조 건축양식의 내진 기능이 응용됐다.
황 교수는 “지진 때 석축 안쪽에 쌓은 석재들이 흔들리지 않게 석축에 못처럼 규칙적으로 박아둔 길이 1.8m 동틀돌의 내진공법은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신라만의 뛰어난 건축술”이라고 말했다.
이 조사연구는 <대한지리학회지> 최근호에 발표됐다.
************************************* <한겨레/ 오철우 기자 2007.11.12>
*********************************************
그렝이법
기둥 밑둥과 주춧돌이 밀착하도록 하는 작업을 '그랭이질' 또는 '그레질'이라 한다. 그랭이 하는 일은 아주 정밀한 작업이어서 도목수가 맡아 한다. 그랭이하는 일을 '그레질'한다고도 말한다.
건물에 기둥을 주춧돌 위에 세울때 주초석은 화강암을 다듬어 쓰지만
자연석 위에 기둥을 세울때는 면이 고르지 못한 초석 생긴 데 맞추어 기둥을 세울 수밖에 없다.
높이도 일정하지 않은 수십개의 초석에 기둥을 세우려면 그 초석 높이를 감안해야 한다. 주초석 높이가 일정치 않은 것을 "덤벙주초" 라 한다.
제멋대로 생긴 자연석 위에 기둥을 세우는 일이 쉽지 않은데 독특한 기법으로 개발한 것이 "그렝이법"이다.
]
그랭이 하려면 보통 얇은 대나무로 깎아 만든 '그랭이 칼'이 있어야 한다. 마치 핀셋 모양으로 두 다리가 벌어지기도 좁혀지기도 하는 H형이다. 그랭이를 시작하면 벌린 한 가닥을 주춧돌에 밀착시키고 나머지 한 가닥은 기둥몸에 닿도록 한다. 그리고 주춧돌에 밀착한 다리에 힘을 주면서 기둥 둘레를 한 바퀴 돌린다.
기둥이 올라앉을 주좌(柱座)의 돌 생김이 들쭉날쭉한데에 따라 그랭이 칼이 움직이므로 기둥에도 그와 같은 선이 그려지게 된다. 일종의 쌍구법(雙句法)인데, 같은 형상이 표시되었으므로 그에 따라 기둥을 잘라내면 주춧돌 주좌의 들쭉날쭉한 부분과 영락없이 부합된다
그랭이질이 능숙하여 기둥 절단이 정확하면 기둥과 주춧돌이 정교하게 밀착되어 습기도 스며들지 못하고 벌레 역시 들어갈 틈이 없다.
그랭이질 한 후 기둥 밑둥의 안쪽부분을 약간 깊숙하게 파낸다. 마치 굽을 만들 덧 하는 것인데 기둥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공간에 소금·간국·백반을 넣으면 방충과 방부의 역할을 한다.
*********************************************
동 틀 돌
석벽 앞으로 튀어나온 돌(사진출처:박물관대학유적답사)
‘동틀돌’ 머리 부분에 홈을 파서 수평 수직 부재들이 끼워지게 되어있다.
이 홈에 부재를 끼워 넣었기 때문에 토압에도 밀려나지 않고 천여 년의 풍상에도 견딘 것이다.
‘동틀돌’ 기법은 석축을 수직으로 쌓거나 강한 압력에 견디기 위하여 필요한 기법이다. 석축을 수직으로 쌓지 않을 경우는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불국사의 석축을 수직으로 쌓았기 때문에 ‘동틀돌’을 고안한 것이고 만일 ‘동틀돌’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불국사의 쉽게 붕괴되었을 것이다.
'문화,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인사에 불이 나면 불상이 사라진다? (0) | 2007.11.24 |
---|---|
소쇄원·윤선도 정원 등 한국 대표 5개 정원 명승으로 (0) | 2007.11.14 |
[스크랩] 견우불과 직녀불로 거듭난 여왕과 대각간의 사랑-해인사 목조비로자나불 (0) | 2007.11.13 |
[스크랩] 굴불사터 석가여래 불두는 일본땅 어디쯤에 있을까 (0) | 2007.11.09 |
안중근 의사 친필 보물로 지정 (0) | 2007.11.07 |